본문 바로가기

Application/Android Studio4

[언어] Java VS Kotlin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사용하는 언어가 2가지 있다. Kotlin과 JAVA인데, 둘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둘 다 객체지향언어이다. 객체지향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법으로 부품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먼저 만들고, 이것을 하나씩 조립 및 연결하여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객체를 만들기 위해 클래스를 작성하고, 객체와 객체를 연결해서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낸다. 객체지향 언어의 특징인 캡슐화, 상속성, 다형성을 완벽하게 지원한다. 객체지향 4가지 특징 추상화 : 객체의 공통적인 속성과 가능을 추출하여 정의하는 것 역할과 구현의 분리 상속성 : 기존의 클래스를 재활용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자바의 문법요소 상위 클래스로부터 확장된 여러 개의 하위 클래스.. 2023. 11. 22.
[안드로이드 활동 수명 주기] #2. Fragment Activity 이해했으니까 Fragment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이건 활동 수명주기라고 할 수 있나? 그냥 문서에 Fragment라고 적혀있음.... 아마 그냥 사용방법인 것 같은데 이게 뭐 수명주기지 뭐 ㅋㅎ Fragment? 프래그먼트는 FragmentActivity 내의 어떤 동작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를 하나의 액티비티에 결합하여 창이 여러 개인 UI를 빌드할 수 있고, 하나의 프래그먼트를 여러 액티비티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즉, 프래그먼트는 액티비티의 모듈식 섹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자체적인 수명 주기를 가지고, 자체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고, 액티비티 실행 중에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프래그먼트는 항상 액티비티 내에서 호스팅되어야 하고, 해당 프.. 2023. 11. 22.
[안드로이드 활동 수명 주기] #1. Activiy 괜히 마케팅/기획 찍먹하다가 부랴부랴 개발로 돌려서 개고생 하는 사람~~~ 안드는 신투 면접 때 물어봤는데 제대로 대답 못했다는^^^^^ 이번에는 확실하게 외워둘 것! 1. onCreate() : 생성됨 시스템이 먼저 활동을 생성할 때 실행되는 것으로, 필수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활동이 생성되면 생성됨 상태가 된다. 활동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한 번만 발생해야 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 시작 로직을 실행한다. @OnLifecycleEvent라는 주석이 있는 메서드가 호출되고, 수명 주기 인식 구성요소는 생성됨 상태에 필요한 모든 설정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활동은 생성됨 상태에 머무르지 않는다. -> onCreate() 메서드가 실행을 완료하면 시작됨 상태가 되고, 시스템이 연달아 Start()와 .. 2023. 11. 22.
[Xml] 오른쪽 정렬하기 CSS, XML 특 : 귀찮음 특히 정렬이 어딜 가나 문제인데, 오른쪽 정렬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적 : 나는 LinearLayout 안에 있는 것들끼리의 정렬을 수행하고 싶다. 흔히 오른쪽 정렬이라고 하면, 아래의 코드를 추가하라고 한다. android:layout_gravity="right" 한 번 추가해보자. 달라진 거 찾을 수 있는 사람? 미세하게 쓰레기통이 올라갔다. 이럴 때는 새로운 View를 추가하면 된다. 전체코드 더보기 2023. 7. 18.